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상록이니 상록수니 하는 이름을 우리 주위에서 심심치 않게 보게 됩니다. 훌륭한 농촌 지도자에게 주는 상에 상록수상이 있고, 동티모르에서 유엔 평화유지군으로 활동하는 우리 군 부대 이름도 상록수 부대였습니다. 그런가 하면 불우 학생이나 가난한 이웃을 돕는 자선단체에도 상록회라는 이름이 유난히 많이 눈에 띕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상록이나 상록수는 1년 내내 잎이 푸른 나무를 뜻하기도 하지만, 자기 희생과 봉사 정신을 바탕으로 타인을 언제나 푸르게 하는 의미도 담겨 있습니다. 상록이 이런 의미를 띤 데는 일제강점기 큰 인기를 끈 심훈의 장편소설 상록수의 역할이 큽니다.

    상록수

    상록수 지은이 심훈

    심훈은 1901년 서울 노량진에서 태어났습니다. 심훈은 필명으로 본명은 심대섭입니다. 경성 제일 고등 고등학교 4학년 때 기미독립운동에 참가하다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복역한 뒤 집행유예로 풀려났지만 학교에서 퇴학당합니다. 그 뒤 중국으로 건너가 한때 중국 항저우 치장 대학에서 연극 문학을 전공합니다. 1923년에 귀국한 그는 신국 연구단체인 극문회를 조직하여 연구 활동에 관여합니다. 1925년 일본 번안 소설 장한몽을 영화로 만들 때는 주인공 이수일 역을 맡기도 합니다. 이 밖에도 심훈은 영화 먼동이 틀 때의 시나리오를 직접 집필하고 각색하는 것은 물론이고 감독까지 맡았습니다. 한편 여러 일간신문에 장편 소설을 연재하면서 소설가로도 활약했습니다. 1932년 심훈은 아버지의 고향인 충청남도 당진에 낙향하여 작품 활동에 전념합니다. 1936년 장티푸스에 걸려 36살의 젊은 나이로 요절할 때까지 이곳에서 집필 활동에 전념했습니다. 기미 독립운동 이후 일제는 잠시 문화정책을 펴다가 6.10만세 운동, 광주 학생의거, 만주사변 등이 일어나자 다시 무단정치로 돌아섰습니다. 그래서 우리 선각자들은 브나로드 운동을 통해 겨우 민족운동의 명맥을 유지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브나로드 운동이란 1870년 러시아에서 청년 귀족과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농민을 주체로 삼아 사회 개혁을 이루려고 한 계몽 운동을 말합니다. 러시아말로 민중 속으로라는 뜻입니다. 그러나 이 운동조차 일제 제국주의의 제지로 중단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렇게 이 운동을 더 이상 전개할 수 없게 되자 동아일보는 소수를 통해서라도 이 운동의 정신을 지속하려고 했습니다. 그래서 창간 15주년을 맞아 장편 소설을 현상 모집하면서 농어촌을 배경으로 하고 진취적인 젊은이를 작중 인물로 삼을 것 등 브나로드 운동에 걸맞은 조건을 은밀히 내걸었습니다. 심훈은 이 현상 모집에 응모했고, 이 소설 응모에 당선된 작품이 바로 상록수입니다.

    소설의 내용

    심훈의 상록수는 농촌 계몽 소설입니다. 주인공 박동혁은 수원고등농림학교 학생으로 가정 형편이 어려워 학업을 포기하고 고향인 서해안에 내려가서 농촌 계몽 운동을 벌입니다. 갱생의 광명은 농촌으로부터, 아는 것이 힘이다, 배워야 산다, 일하기 싫은 사람은 먹지도 말라 등의 깃발을 내걸고 낡은 관습에 젖어 있는 농촌을 일깨우는 데 온 힘을 쏟습니다. 한편, 여자 신학교 학생인 여주인공 최영신은 기독교 여자청년회 회원으로 청석골이라는 시골로 내려가 부녀회를 조직하고 마을 예배당을 빌려 어린이를 위한 한글 강습소를 운영합니다. 박동혁과 채영신은 한 신문사에서 주최한 보고회 겸 위로회에서 만난 뒤 동지가 됩니다. 두 사람은 계몽 운동이 자리가 잡히고 난 3년 뒤쯤 결혼하자고 다짐하기도 합니다. 박동혁은 농부의 힘을 결집하기 위해 농우회라는 단체를 조직하고, 전 근대적인 마을을 근대적 마을로 만들기 위해 농촌 개량 사업에 몰두합니다. 물론 지주의 아들인 강기천은 박동혁의 이런 계몽 운동을 집요하게 방해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마침내 20평 정도의 농우회관을 건립합니다. 강기천의 훼방에 불만을 품은 박동혁의 동생이 마을 회관에 불을 지르고 도망가자 박동혁이 구속됩니다. 채영신은 채영신대로 눈 뜬 장인과 다를 바 없는 시골 사람들에게 그를 깨우쳐주려고 온갖 노력을 아끼지 않습니다. 처음에는 마을 예배당을 빌려 야학을 열지만 장소가 비좁은 데다 여러모로 불편하자 새 건물을 지을 계획을 세웁니다. 그러나 그녀 앞에도 온갖 시련과 고난이 가로놓여 있습니다. 채영신은 새 건물을 지으려고 어느 재력가에게 기부금을 간청한 일이 말썽이 되어 기부금 강요라는 제목으로 주재소에 갇히게 됩니다. 뒷날 기독교계의 추천으로 일본에서 유학한 뒤 채영신은 청소골로 다시 돌아와 농촌 계문운동을 계속하지만 곧 병에 걸려 박동혁을 애타게 부르다가 숨을 거두고 맙니다.

    소설의 주제, 공동선의 추구

    일제 강점기는 자신은 물론 가족을 돌보기에도 무척 힘든 시기였습니다. 모든 것이 여유로울 때에는 남을 돕는 일도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그러나 내가 어려울 때에도 남을 돕는다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지. 상록수의 두 주인공은 나보다는 남, 개인보다는 사회를 더욱 아끼고 사랑합니다. 헌신적인 희생과 봉사, 온갖 역경과 고난을 꿋꿋이 견뎌내는 불굴의 인내, 개인의 이익이 아닌 공동선을 향해 정진해 가는 모습은 두 인물 사이의 애틋한 사랑 못지않게 우리의 가슴을 뭉클하게 합니다. 세속적인 성공을 포기한 채 가난한 시골에 묻혀 살면서 일본 제국주의 때문에 피폐할 대로 피폐해진 농촌을 다시 일으켜 세우려는 젊은 주인공들의 늘 푸른 의지는 상록수가 전하는 메시지입니다.

    반응형